포인트 랭킹
  • 1 Sec 원본과 같은 속도! 3000bps 3K 고화질!
  • 스포츠배팅 시 필수 데이터 드로핑오즈 (Dropping Odds) . 벳익스플로어 (BetExplorer) . 오즈포탈 (Odds Portal) . 결정자 . 라인업 을 꼭 확인하고 배팅하시면 이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은행이야 장사꾼이야” NH농협은행의 두 얼굴 [추적+]

컨텐츠 정보

본문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게 있다. 시중은행 대출금리다. 지난 2월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떨어뜨리자 은행들이 예금금리만 인하하고 대출금리는 그대로 둔 결과다. 그중에서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NH농협은행으로 나타났다. 더스쿠프가 ‘이자장사꾼’ NH농협은행의 민낯을 취재했다. 1편이다.


5대 시중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다.

NH농협은행의 예대금리차(예·적금 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가 업계 1위를 차지했다. 박수받을 만한 일이 아니다. 불명예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다. 예대금리차가 크다는 건 은행이 소비자가 맡긴 예·적금엔 낮은 금리를 적용하고, 은행에서 돈을 빌려가는 대출에는 높은 이자율을 매기고 있다는 의미다.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이자장사로 은행이 벌어가는 돈은 늘어난다.

그럼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 기준)는 7개월 연속 오름세를 탔다.

지난해 7월 0.43%포인트였던 5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올해 2월 1.38%포인트까지 올라갔다. 예대금리차가 7개월 만에 0.95%포인트나 치솟은 셈이다. 2월에 기록한 예대금리차 1.38%포인트는 은행연합회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22년 7월 이후 두번째로 큰 수치다. 2022년 8월에 5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는 1.39%포인트였다. 5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3년 만에 최고치로 벌어졌다는 얘기다.

문제는 그때와 지금의 금리 상황이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 지난해 1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였다.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을 해소할 목적으로 2023년 1월 3.5%로 인상한 기준금리를 1년째 유지하고 있었다.

지금은 방향성 자체가 다르다.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낮춘 데 이어 올해 2월에도 기준금리를 떨어뜨렸다(0.25%포인트). 기준금리는 낮아졌지만, 예금금리만 떨어뜨리고 대출금리는 그대로 놔둔 셈이다.

한마디로 이자장사에 치중했단 건데, 가장 많이 탐욕을 부린 건 언급했듯 NH농협은행이다. NH농협은행의 2월 기준 예대금리차는 1.47%포인트로 금리차가 가장 적은 우리은행(1.3%포인트)보다 0.17%포인트 높았다. NH농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1.5%포인트에 육박한 건 지난해 1월(1.5%포인트) 이후 1년 1개월 만이다.

사실 NH농협은행의 높은 예대금리차가 구설에 오른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3월에도 5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예대금리차가 1%대를 웃돌아 ‘이자장사를 과하게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흐름은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3월 5대 시중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일반신용대출 예대금리차는 NH농협은행이 2.06%포인트로 가장 컸다. 예대금리차가 가장 낮았던 KB국민은행(1.36%포인트)과 비교하면 0.7%포인트나 높았다.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의 예대금리차도 1.51%포인트로, 신한은행(1.45%포인트), 우리은행(1.38%포인트), KB국민은행(1.28%포인트)을 크게 웃돌았다. 마이너스 대출(신용한도대출)의 예대금리차 역시 NH농협은행이 2.42%포인트로 가장 컸다.


“은행이야 장사꾼이야” NH농협은행의 두 얼굴 [추적+]

NH농협은행 관계자는 “대출 증가세를 우려해 가산금리 조정이 늦어지면서 대출금리 인하 속도가 더딘 건 사실”이라면서 “저원가성 예금도 예대금리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해명 역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이 얘기하는 저원가성 예금은 정부정책자금일 가능성이 높다. NH농협은행은 “정부정책자금이 1~3개월 초단기 정기예금으로 예치돼 저축성 수신금리가 낮고, 이런 요인이 예대금리차를 높이는 이유”라고 밝혔다. 문제는 정부정책자금의 원천인 예금엔 낮은 예금금리를 적용해도 되느냐는 거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정책자금에만 유독 낮은 금리를 적용하는 건 농업 지원에 쓰일 자금의 가치를 낮추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 때문인지 NH농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유독 큰 이유가 다른 데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일고 있다. 무슨 얘기일까. 이는 이자장사꾼 NH농협은행 두번째 편에서 자세히 다뤄보자.

관련자료

댓글 2
자유게시판
RSS
제목
이름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