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옷 수거함에도 못넣는 솜이불 버리면 어떻게 되나[생활속산업이야기]
“아 그랬구나!” 일상 곳곳에서 우리 삶을 지탱해 주지만 무심코 지나쳐 잘 모르는 존재가 있습니다. 침구, 종이, 페인트, 유리, 농기계(농업) 등등 얼핏 나와 무관해 보이지만 또 없으면 안 되는 존재들입니다. 우리 곁에 스며 있지만 숨겨진 ‘생활 속 산업 이야기’(생산이)를 전합니다. 각 섹터별 전문가가 매주 토요일 ‘생산이’를 들려줍니다.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 조은자 소장] 동네 곳곳 의류 수거함을 지나치다 보면 수거함 위에 버려진 이불이 올려져 있는 경우를 더러 발견하게 된다. 헌 옷 수거함에 배출 가능한 품목은 다음과 같다. 헌 옷, 신발, 모자, 가방, 담요, 천이불, 누비이불 등. 이 품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당연하게도 모든 물건은 투입구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여야 하며 솜이불은 제외돼 있다. 즉 대부분의 헌 이불은 의류 수거함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재활용되지도 않는다는 의미다.
지구 온난화로 봄과 가을이 실종된 기후위기 시대를 맞이했다. 지구 온난화에 섬유패션 산업은 세 가지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온실가스 배출, 물 사용 및 오염, 폐기물 발생 등이다. 섬유패션 제품은 생산부터 제조, 운송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 물질이 사용되며, 이때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 전 세계 탄소 배출량 중 섬유패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10%, 폐수 배출량은 20%에 이른다.
특히 전 세계에서 버려지는 직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한데, 매년 섬유 폐기물의 양은 9200만 톤 이상이며 그 양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엄청난 양의 폐섬유는 매립 혹은 소각처리 되며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매립지에 묻힌 섬유는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 유독가스를 배출하고 이를 소각하면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특히 폴리에스터 등 석유 기반 소재인 합성섬유의 경우 완전히 분해되는 데 최장 200년이 걸리며, 소각 처리할 경우 발암물질 등 유해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섬유 폐기물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유럽연합(EU)은 판매 제품의 폐기물에 대해 일정량의 재활용 의무를 생산자에 부과하는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EPR)’를 의류산업에도 확장해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엔 EU 각국에서 버려지는 의류들을 수거해 재활용 및 재사용할 수 있도록 폐기물에서 직물을 분리 수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포함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의류를 EPR 제도의 대상 품목으로 추가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다